대전 철도관사촌 대립 지속... 슬기로운 해결법 없나
상태바
대전 철도관사촌 대립 지속... 슬기로운 해결법 없나
  • 구태경 기자
  • 승인 2020.06.09 1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절된 제한적 도로...도로 폭도 너무 넓다”
“보존 외치는 상인들이 리모델링으로 훼손...아이러니”
“관사촌 카페거리, 주민들은 소음과 쓰레기 민원”
“75%의 주민은 동의... 몇몇 타지인의 투기 농락”
철도관사촌살리기 운동본부가 9일 삼성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주민공청회가 열리는 대전청소년위캔센터 앞에서 시위를 하고 있다.
철도관사촌살리기 운동본부가 9일 삼성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주민공청회가 열리는 대전청소년위캔센터 앞에서 시위를 하고 있다.

‘개발이냐 보존이냐’를 놓고 대전시와 지역주민 그리고 소제동 관사촌 카페 등 상인들이 대립하고 있는 ‘삼성4구역 재정비 사업’에 대한 논의가 다시 시작됐다.

지난달 4일 돌연 잠정 연기됐던 삼성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을 위한 주민공청회가 시 관계자와 전문가로 구성된 토론자들과 함께 9일 대전청소년위캔센터에서 다시 열렸다.

이날 공청회는 박천보 한밭대 교수 주재로 송복섭 한밭대 교수, 이재우 목원대 교수, 조철휘 대전시 도시정비과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이 교수는 먼저 사업성 부분에서 최근의 시장 수요를 감안했을 때 주택공급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나쁘지 않고 임대주택 추가도 공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포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건설되는 폭 21미터의 4차선 도로가 삼성4구역을 편입되는 데 구역 그 자체보다 주변에 철도관사를 비롯해 재산권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문제가 생긴다”며 “이미 동서방향의 연결 도로가 있고 이번 도로개설이 대전역적으로 쭉 연결되기보다도 서쪽으로 단절돼 도로개설이라고 하더라도 제한적인 도로다”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철도관사촌의 절대적인 보존 가치 유무는 추가적으로 검토해봐야겠지만 도로 건설 자체의 여부를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조합원들의 재산권과 재정비는 돼야하지만 주거지역의 재정비가 무조건적으로 지원되서는 안된다”고 일침했다.

마무리 발언으로 이 교수는 “민간의 사업은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하지만 실태를 먼저 조사하고 사업의 진행에 방해되지 않는 한에서 보존과 개발 정비가 함께 갈 수 있는 방안을 찾아봐야 한다”며 “열악한 주거환경이 그대로 묶여 있는 것은 반대하지만 도로가 꼭 필요한 것인가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송 교수는 “이 사업은 지난 2009년도에 만들어졌고 그 이후 특성화계획 등에 참가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엔 금방이라도 역세권개발이 이뤄질 분위기였는데 벌서 10년이 흘렀다”며 “(삼성4구역)저녁엔 어두운 분위기고 낮에도 쾌적하지 못한 분위기다. 이번에 이 사업을 계기로 해서 종합적인 개발이 되는 것은 환영한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송 교수는 “도로 폭이 너무 크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관사촌 같은 경우에도 10년 전에도 이미 논의가 있었다”며 “보존의 가치가 있는 것을 뿌리째 옮기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생각으로 (그 당시엔)반대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관사촌 같은)소중한 자산을 보존하고 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슬기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며 “처음 도로 계획은 복합환승센터를 염두해 두고 있었으나 복합환승센터 역시 시에서 재검토하고 있는 만큼 현재 계획안대로 이 폭의 도로를 건설할 필요는 없을 듯 하다”고 의견을 피력하며 이 교수의 발언에 무게를 더했다.

마지막 토론자인 조 과장은 앞서 이 교수가 지적한 도로문제 부분에 대해 “이번 도로 건설 계획은 삼성4구역뿐만 아니라 뒷편에 소제동으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촉진지구 계획인 만큼 계획의 철회는 불가피하다”면서도 “이 교수님의 의견을 바탕으로 기술적인 부분을 면밀하게 들여다 보겠다”고 말했다.

조 과장은 “관사촌을 바라볼 때 근대 건축물로 보존가치가 있느냐에 대해선 여러 가지 의견이 있겠지만 시에서는 100년 정도 대전과 함께 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 이전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서 “그러나 재원상 공간상의 문제로 전체를 이전할 수는 없다. 상태가 양호한 곳을 이전할 계획이고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조 과장은 “관사촌을 보존하자고 강력하게 말씀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카페를 하고 계신는 분들인데 오히려 카페 때문에 리모델링으로 (관사를)가장 훼손하고 있다. 앞뒤가 맞지 않는다. 아이러니하다”며 “건물 자체보다 역사자원을 활용해서 도시재생을 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라고 주장했다.

조 과장은 “카페거리로 유동인구가 늘어나 상권이 살아나는 점은 있으나 실제 거주하고 있는 많은 주민들은 ‘쓰레기가 많아지고 동네가 시끄러워진다’며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서 보존을 주장하시는 분들도 같이 고민을 해주셨으면 좋겠다. 상생을 모색해야한다”고 주민들의 의견을 대변했다.

또한 조 과장은 “이 밖에도 고려해야할 것이 카페거리라는 것이 서울의 예를 보면 방배동에서 카페촌이 먼저 생기고 인사동 북촌 등 트렌드가 이동하면서 장소가 그때그때 바뀐다”며 “현재 관사촌 카페들이 현재 많이 방문하고 있지만 과연 5년 후, 10년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람들을 유인할 수 있을가 하는 고민도 해봐야 한다”고 대안에 대한 논의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 과장은 “사실 토지소유주 입장에서 보면 (관사촌 보존 등)이런 것들이 모두 자신의 재산에 대한 규제”라며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은 가끔 놀러오는 사람들이 아니라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라고 지역 주민들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조 과장은 “이 지역의 주민들과 먼저 합의가 이뤄져야 하지 않겠냐”며 “자신들의 장사가 잘되냐 안되냐를 떠나서 주민들에 대한 설득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진 주민들의 질문 시간에 이요섭 철도관사촌살리기운동 본부장은 “카페를 하면서 관사를 훼손했다고 하는데 많이 훼손하지 않았다. 관사보다 근처 빈집을 카페로 활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며 “역사건물을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옳은지 활용을 해야하는 지 생각해 봐야한다. 찻잔 속의 태풍이 돼서는 안된다”고 말하며 조 과장의 발언을 반박했다.

이 본부장은 “북촌 등 서울의 예를 드는데 그것은 사람들이 어떤 자세를 갖고 운영해 나가는지에 달렸다”며 “소제동은 지금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서로 협의해서 상생했으면 하는 바람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동에 거주하는 송 씨는 “대다수가 혜택을 보면 투자고 소수가 혜택을 보면 투기”라며 “10년 이상 75%를 넘는 주민들의 동의하에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런데 서울에서 몇몇이 내려와서 카페를 차리고 주민들을 우롱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시는 빨리 추진해달라. 벌써 10년이 넘었다. 주민들이 3분의 2가 70대 이상이다”라면서 “75%의 주민을 타지에서 온 몇 사람들이 농락하고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토론의 마무리로 박 교수는 “5년 후, 10년 후는 어찌 될지 모르겠으나 개발보다 재생으로 가야한다”며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보다 여러 논의를 거쳐 천천히 진행돼야 할 문제”라고 마무리했다.

한편, 삼성4구역 재정비 사업은 대전 동구 삼성동과 소제동 일원 13만2124㎡ 부지에 지하 3층~지상 29층 아파트 16개 동 1466가구와 부대시설 등을 짓는 사업으로 지난 2009년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계획’으로 고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아토피를 이기는 면역밥상
우리 단체를 소개합니다
임영호의 조합장 일기
풍경소리
이슈포토